뉴스데스크 해양 부산 뉴스

′가을 태풍′ 더 무섭다..양식장 대비 어떻게?

김유나 | 2023-08-16 20:40


◀앵커▶
얼마 전, 태풍 ′카눈′ 으로
부산에서도 피해가 속출했죠.

태풍은 지나갔지만, 여전히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습니다.

해마다 가을이면 태풍이 연달아 북상하기 때문인데,

부산은 특히 기장 지역에 몰린
양식장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김유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10일, 태풍 ′카눈′이 휩쓴 부산.

기차를 쓰러뜨릴 정도의 강풍이 몰아쳤고
최고 8미터의 높은 파도가 해안을 덮치는 등
500여 건의 피해가 속출했습니다.

잇따라 두 개의 태풍 북상이 예보됐었지만,
다행히 7호 태풍 ′란′은 일본을 통과하면서
우리나라와 멀어졌고, 8호 태풍 ′도라′는
소멸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안심할 순 없습니다.

2013년 다나스, 2016년 차바,
이후 콩레이와 마이삭에 이어, 지난해
힌남노까지...

최근 10년 사이 큰 피해를 준
태풍 대부분이 가을철에 집중됐기 때문입니다.

또 여름 태풍이 서해상과 일본을 통과하는 비중이 큰 반면,
가을 태풍은 남해안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더 크고,

부울경 지역에 상륙하는 비율도 31%로,
여름보다 높습니다.

태풍이 오면 양식장은
시설물 관리가 중요합니다.

지붕이나 천막이 날아가지 않도록 고정하고,
날아갈 위험이 있다면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켜야합니다.

또 정전이나 단수에 대비해
깨끗한 물을 충분히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비상발전기와 산소 공급장치가 잘 작동하는지도 미리 살펴봐야 합니다.

[강철효 / 양식장 대표]
"태풍이 오면 어장은 정전이 제일 문제죠. 정전이 되면 고기 피해가 크니까"

태풍 접근 전부터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
사료 공급은 중단하는 게 좋습니다.

[우동식 / 국립수산과학원장]
"태풍이 올라오면 양식 생물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다.이럴 때는 사료를 주지 마시고 절식시키고, 단전이나 단수에 대비해서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주시고.."

[김유나 기자]
"태풍이 지나간 뒤에도 철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양식장의 물을 깨끗한 바닷물로
바꿔주고 양식 생물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물에 들어간 이물질을 빨리 제거하는 게
좋습니다.

MBC뉴스 김유나입니다"

◀끝▶

 

 

 

김유나

정치2진 / 해양수산 / 세관 / 관광MICE

"부산MBC 김유나 기자입니다. 희망의 뉴스를 전하겠습니다."

Tel. 051-760-1316 | E-mail. youna@busanmbc.co.kr

Tel. 051-760-1316
E-mail. youna@busanmbc.co.kr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해주신 분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사건사고, 부정부패, 내부고발, 미담 등 관련 자료나 영상도 함께 보내주세요.

▷ 전화 : 051-760-1111 

▷ 카카오톡 채널 : 부산MBC제보

▷ 자료/영상 보내기 : mbcje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