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가을 태풍′ 더 무섭다..양식장 대비 어떻게?

◀앵커▶얼마 전, 태풍 ′카눈′ 으로부산에서도 피해가 속출했죠.태풍은 지나갔지만, 여전히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습니다.해마다 가을이면 태풍이 연달아 북상하기 때문인데,부산은 특히 기장 지역에 몰린양식장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김유나 기자가 보도합니다.◀리포트▶지난 10일, 태풍 ′카눈′이 휩쓴 부산.기차를 쓰러뜨릴 정도의 강풍이 몰아쳤고최고 8미터의 높은 파도가 해안을 덮치는 등500여 건의 피해가 속출했습니다.잇따라 두 개의 태풍 북상이 예보됐었지만,다행히 7호 태풍 ′란′은 일본을 통과하면서우리나라와 멀어졌고, 8호 태풍 ′도라′는소멸된 상태입니다.하지만 안심할 순 없습니다.2013년 다나스, 2016년 차바,이후 콩레이와 마이삭에 이어, 지난해힌남노까지...최근 10년 사이 큰 피해를 준태풍 대부분이 가을철에 집중됐기 때문입니다.또 여름 태풍이 서해상과 일본을 통과하는 비중이 큰 반면,가을 태풍은 남해안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더 크고,부울경 지역에 상륙하는 비율도 31%로,여름보다 높습니다.태풍이 오면 양식장은시설물 관리가 중요합니다.지붕이나 천막이 날아가지 않도록 고정하고,날아갈 위험이 있다면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켜야합니다.또 정전이나 단수에 대비해깨끗한 물을 충분히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비상발전기와 산소 공급장치가 잘 작동하는지도 미리 살펴봐야 합니다.[강철효 / 양식장 대표]"태풍이 오면 어장은 정전이 제일 문제죠. 정전이 되면 고기 피해가 크니까"태풍 접근 전부터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사료 공급은 중단하는 게 좋습니다.[우동식 / 국립수산과학원장]"태풍이 올라오면 양식 생물들이 스트레스를많이 받습니다.이럴 때는 사료를 주지 마시고 절식시키고, 단전이나 단수에 대비해서산소를 충분히 공급해주시고.."[김유나 기자]"태풍이 지나간 뒤에도 철저한 관리가중요합니다. 양식장의 물을 깨끗한 바닷물로바꿔주고 양식 생물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물에 들어간 이물질을 빨리 제거하는 게좋습니다.MBC뉴스 김유나입니다"◀끝▶   

김유나 | 2023-08-16

중국발 크루즈, 내년 하반기 부산 온다

◀앵커▶6년여 만에 중국 단체관광 빗장이 풀렸습니다.부산항에도 중국발 크루즈선의 문의가 몰리면서내년 하반기에 부산항 기항 예약이 잇따르고 있는데요.모객 기간 등을 고려하면,올해 중국 크루즈선 기항은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김유나 기자입니다.◀리포트▶지난 2018년 2월,부산항에 입항한 중국발 크루즈선입니다.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로 1년 만에 부산을 찾았지만, 승객 3천600여명 가운데중국인은 단 14명 뿐이었습니다.′사드 사태′ 이전까지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부산 크루즈 관광 시장을 견인해왔습니다.2016년 부산항을 찾은 크루즈 관광객56만 7천여명 중, 80%가 중국인 관광객이었습니다.크루즈 208척 중 중국발이 절반을 넘었습니다.하지만 중국의 금한령이 내려지면서 상황은 급변했습니다.2017년 중국인 관광객은전년도의 1/10 수준인 5만9천명으로 급감하더니2018년엔 8천여명,2019년 700명대로 바닥을 찍었고,이후 코로나19로 3년간 운항이 중단됐습니다.[문영배 / 부산관광공사 글로벌마케팅팀장]"시장 경제와 관광산업 전반의 활성화, 이 두가지가 중국시장이 갖는중요성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 시장에 빠져나가면서 여러가지 규모나 이런 부분들이 축소가 됐었습니다"지난 3월 크루즈 운항이 재개되면서부산항엔 연말까지 106척, 내년에도 104척이 입항할 예정입니다.이런 가운데, 지난 10일 마침내 중국 정부가단체관광 금지 조치를 해제하면서 중국 단체여행에 빗장이 풀렸습니다.인천에서는 한중 카페리 운항이 재개됐고,무비자 관광이 가능한 제주에는 하루 만에 50여척의 기항 예약이 몰렸습니다.부산항에는 현재까지 중국발 크루즈선 4척이내년 하반기 부산항 기항을 신청했습니다.[전언육 / 부산항만공사 산업혁신부장]"중국을 출발해서 부산항을 기항하는 크루즈 선박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승객들이 입출국하시는 데 불편이 없도록 국제여객터미널 관리에 만전을 기할 예정입니다"모객 유치에 빠르면 3개월이 걸리는데다선박 일정 등을 고려해야해 올해 안에 입항하는 건 어려워보입니다.[김유나 기자]"부산항만공사는 언제라도 신청이 몰릴 수 있는 만큼 상황을 지켜보며준비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MBC뉴스 김유나입니다." ◀끝▶ 

김유나 | 2023-08-14

한일 뱃길 열렸지만 여객터미널 상가는 ′벼랑 끝′

◀앵커▶부산과 일본을 오가는 여객선들이모두 운항을 재개했습니다.하지만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회복하지 못하고 있는데요...선사들의 폐업으로한일 노선 배편과 이용객이 줄면서터미널 입점 업체들도운영난을 겪고 있습니다.김유나 기자입니다.◀리포트▶이른 아침부터 출국장 대합실이 북적입니다.가족 여행객들과 단체 관광객들이 몰리면서출국장 앞에는 긴 줄이 생겼습니다.[한미원 / 여행객]"처음으로 일본 가는 거거든요. 그래서 기대가 많이 됩니다.대마도는 한번도 안 가봤거든요. 부산에서 자주 왔다갔다한다고해서 (배 타고 가요)"한일 여객선 운항이 재개된 건 지난해 11월.코로나19로 끊겼던 바닷길이2년 8개월 만에 다시 열린 겁니다.올 1월 만 2천명에 그쳤던 여객 수는매달 늘어 지난달 6만4천명까지 급증했지만,코로나19 이전 연간 이용객 94만여명과 비교하면 아직 44% 수준에 불과합니다.코로나19 기간 선사들이 폐업하면서운항 노선과 배편이 줄었는데,특히 일본 수요를 견인했던 대마도 노선이 3월이 다 돼서야 재개됐고,그마저도 2곳 중 한 곳만 열렸습니다.[김유나 기자]"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하는 승객 수가아직 코로나19 이전을 회복하지 못하면서이곳 터미널 안에 입점해있는 시설이나 상가들도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터미널에 식당과 편의점 등 14곳이 입점해있지만,매출 회복은 꿈도 못 꾸고 있습니다.수속 시간이 짧다보니 쇼핑 시간도 적어,일부 매장은 비어 있을 정돕니다.[서옥미 / 부산면세점 부산항점장]"(부산항여객터미널은) 예전에는 30분 전에 들어왔다가, 20분 전에 들어왔다가 면세점에서 물건 찾고 배 타기 바빴거든요. 공항과 비교하면 저희가 판매하거나 매출 올리는 데 애로사항이 많다고 생각합니다."승객들이 출국장 면세점에서여유롭게 쇼핑하도록 해달라는 요구가 빗발치자, 최근에는 수속 시간이출항 1시간 반 전으로 조정됐습니다.[전언육 / 부산항만공사 산업혁신부장]"국제여객터미널 입주 업체들의 어려움을 덜어드리고자임대료는 당분간 60% 감면을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애로사항을 청취해서.."부산항만공사는여객터미널 이용 활성화와입점 업체들의 운영난을 해소하기 위해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MBC뉴스 김유나입니다.◀끝▶ 

김유나 | 2023-08-07

  • 처음 페이지 버튼이미지처음 페이지 버튼이미지
  • 이전 페이지 버튼이미지이전 페이지 버튼이미지
  • 1
  • 다음 페이지 버튼이미지다음 페이지 버튼이미지
  • 마지막 페이지 버튼이미지마지막 페이지 버튼이미지